순천향대가 개발한 ‘핀테크 서비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 최종 채택
 
박성규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naver band
광고

 

- 핀테크 서비스 제공 시 고객의 개인정보와 거래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실질적인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해당 표준 국제표준화 위해 순천향대 염흥열 정보보호학과 교수 주도26개 회원국 만장일치 찬성

 

▲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염흥열 명예교수.  © 아산톱뉴스

 

순천향대학교(총장 김승우)는 핀테크 산업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 강화를 위해 주도적으로 개발한 ‘ISO/IEC 27562(Privacy guidelines for fintech services)’ 표준이 국제표준(IS)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표준은 지난 9월부터 8주간 진행된 FDIS 회원국 투표를 통해 결정됐으며, 절대적인 지지를 받아 핀테크 서비스 내 개인정보보호의 글로벌 기준을 확립하는 국제표준이 됐다.

 

ISO/IEC 27562 표준은 핀테크 서비스 내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점차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사용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키 위해 마련됐다.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염흥열 교수는 ISO/IEC 27562 프로젝트 리더로서 그간 해당 표준 개발을 적극적으로 주도해 왔다. 해당 표준은 지난 2011월 염 교수가 ISO/IEC JTC 1/SC 27/WG 5(신원관리 및 개인정보보호) 회의에서 처음 제안했으며, 영국, 프랑스, 독일, 인도, 필리핀, 중국 등 주요 회원 기관들의 지지를 받아 213월 신규 프로젝트로 승인됐다.

 

이후 약 4년간의 지속적인 개발 과정을 거쳐 지난 11FDIS 투표가 완료됐으며, 투표에 참여한 26개 국가 모두 만장일치로 찬성해 그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IS) 발간 준비 단계에 들어섰으며, 올해 안에 국제표준으로 공식 발간될 예정이다.

 

ISO/IEC 27562는 핀테크 서비스의 정보 주체(고객), 개인정보 처리자(서비스 제공자), 개인정보 수탁자, 기존 금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 통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국내외 핀테크 서비스에서 개인정보 수집·처리가 폭넓게 이뤄지면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글로벌 기준의 필요성이 대두된 가운데, 이번 국제표준 채택은 의미가 크다는 평이다.

 

특히 해당 표준은 자금세탁방지나, 이상 금융거래 탐지와 같은 금융 분야의 규제 요구사항을 고려해 만들어져, 핀테크 서비스 제공 시 고객의 개인정보와 거래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우 총장은 이번 ISO/IEC 27562의 국제표준 채택은 한국이 주도해 글로벌 핀테크 시장의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기여한 중요한 성과라고 언급했다.

 

이에 염흥열 명예교수는 향후 국내 핀테크 기업들이 해당 표준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국제적인 신뢰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입력: 2024/11/18 [14:46]  최종편집: ⓒ 아산톱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제20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및 그의 배우자,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에 과하여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거나, 이들을 비방하는 경우 「공직선거법」에 위반됩니다. 대한민국의 깨끗한 선거문화 실현에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순천향대학교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 홍성표 음주축사 논란 국민의힘 의원 피켓 시위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