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의 전·후진 노 젓기와 화포사용 위한 방패구조 알아냈다
순천향대 홍순구 교수가 밝혀내
 
박성규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naver band
광고

 

▲ 자신의 연구실에서 연구결과를 설명하고 있는 홍순구 교수.     © 아산톱뉴스

 

순천향대학교(총장 서교일)는 홍순구(54) 디지털애니메이션학과 교수가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의 전·후진 노 젓기와 화포를 발사하기 위한 방패구조에 대해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거북선 2층에서 노군의 노 젓기와 좌우현측에 뚫려있는 방패의 포구멍으로 화포를 발사했는가에 대한 거북선 전술과 구조해석에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전·후진 노젓기와 동시에 화포사용이 가능한 방패구조에 관한 연구는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 전술의 새로운 해석과 현재 복원된 거북선들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거북선은 2층에서 노를 젓고, 포수는 3층에서 화포를 발사했다는 주장과 노 젓기와 화포의 사용이 같은 층에서 이뤄졌다는 주장이 있다.

 

3층에서만 화포를 사용했다는 주장의 논리는 노를 젓는 2층 공간에서 화포를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제한이 많고, 효율적인 전투임무를 수행키 위해 높은 3층 공간에서 화포공격을 해야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이와 반대로 홍 교수는 노군이 있는 2층에서 화포 공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근거로는 ‘근접 당파전술’을 예로 들고 있다. 거북선은 적진 속에 파고들어 주변에 근접해 있는 왜선들을 거북선의 낮은 2층에서 대형의 화포로 왜선의 옆구리를 공격해야 왜선의 크기에 관계없이 명중률을 높이고, 치명적인 손상을 입힌다는 것.

 

또한 3층의 용머리, 꼬리 밑, 좌우 개판의 포구멍으로 현자, 황자총통에 조란환을 넣어 발사하고, 사수는 화살로 선상에 있는 왜군을 살상하는 전술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높은 3층에서만 화포를 사용한다면 먼 거리의 왜선에는 화포의 공격이 가능하지만, 근접한 상태에서는 높은 3층의 화포공격이 오히려 제한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홍 교수는 거북선의 막강한 전술은 전후좌우 신속한 기동성과 2층, 3층의 화포공격에 있다고 주장한다.

 

‘선조수정실록(선조 25년)’에 거북선은 ‘사방으로 포를 쏠 수 있고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나는 것처럼 빨랐다. 적이 덮쳐 포위하면 화포를 일제히 쏘았다’라는 내용이 있어 거북선은 전투상황에 따라 노를 저어 후진도 가능하고, 동시에 사방으로 화포를 발사할 수 있는 내부구조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거북선의 후진구조에 대한 연구는 2005년 민간 연구자 김영성이 전·후진 원리를 2층 구조의 거북선 모형으로 처음 발표했다.

 

아래 (그림 1)은 김영성이 전·후진 원리를 설명한 그림으로 멍에와 멍에 중간에 노의 회전축을 위치시켜 노군의 위치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의 방향으로 노 젓기가 가능하다. 그러나 노의 회전축 위치, 노가 물속으로 잠기는 노창, 방패의 포구멍이 직선상에 위치해 있어 동거(童車)에 실려 장전된 화포를 방패의 포구멍에 위치시키기에는 불가능한 구조라고 홍 교수는 지적했다.

 

▲ (그림 1) 김영성이 그린 거북선 전·후진의 원리에 노창 덮개와 방패 포구멍에 화포를 위치시킨 경우로 화포는 노와 노창 위에 걸쳐 화포의 전·후진 이동과 위치시키기 어려운 구조로 설계돼 있다.     © 아산톱뉴스

 

홍 교수는 거북선이 전·후진 노 젓기가 가능하려면 멍에와 멍에 중간 위치에 노의 회전축이 위치해 있어야 하고, 좌우현측 방패에 화포의 설치가 가능하려면 멍에 위쪽에 방패의 포구멍이 위치해 있어야 화포의 전·후진 이동과 방패의 포구멍에 화포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 (그림 2) 전·후진 노 젓기와 동시에 화포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     © 아산톱뉴스
▲ (그림 3) 임진왜란 거북선의 멍에, 방패기둥, 방패의 위치 추정도.     © 아산톱뉴스

 

현재 복원돼 있는 거북선들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멍에 한쪽 모서리에 노의 회전축이 위치해있어 전진만 할 수 있는 구조로 복원돼 있고, 노의 위치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했다. 

 

▲ (그림 4) 현재 복원된 거북선의 노, 방패기둥, 포구멍의 위치.     © 아산톱뉴스

 

홍 교수의 이번 연구는 거북선 내부구조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임진왜란 거북선 전술의 규명과 내부구조 복원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논문은 전문학술지 ‘조형미디어학’논문집 2016년 8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홍순구 교수는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디지털애니메이션학과에서 3D디지털애니메이션을 강의하고 있으며, 2009년도부터 3차원 컴퓨터시뮬레이션 연구방법으로 거북선의 구조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기사입력: 2016/09/08 [18:42]  최종편집: ⓒ 아산톱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제20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및 그의 배우자,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에 과하여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거나, 이들을 비방하는 경우 「공직선거법」에 위반됩니다. 대한민국의 깨끗한 선거문화 실현에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아산시, ‘2024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5년 연속 수상 영예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